목록Web/web dev (25)
hy30nq's blog

안녕하세요! 오늘은 Flask 애플리케이션에서 SQLAlchemy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Flask-Migrate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은 팀 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스키마 변경을 추적하며, 배포 시 용이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작업이랍니다.Flask-Migrate 장점스키마 변경의 추적팀 작업 용이배포 용이성데이터 손실 방지초기 설정먼저 Flask와 필요한 확장들을 설치하고,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해볼게요.from flask import Flaskfrom flask_sqlalchemy import SQLAlchemyfrom flask_migrate import Migrateapp = Flask(__name__)app.config['SQL..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Flask와 SQLAlchemy를 이용해 Object-Relational Mapping(ORM)을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해요. ORM은 데이터베이스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해 주는 멋진 도구랍니다. 😊1. Flask 설정하기먼저 Flask와 SQLAlchemy를 설정해볼게요. Flask는 파이썬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는 프레임워크에요.from flask import Flaskfrom flask_sqlalchemy import SQLAlchemyapp = Flask(__name__)app.config['SQLALCHEMY_DATABASE_URI'] = 'mysql+pymysql://root:비밀번호@localhost/learnf'..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와 데이터를 기록하는 로깅(logging)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해요. 로깅은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죠. 그럼, 로깅의 개념부터 로그 레벨, 그리고 파이썬에서 로깅을 설정하는 방법까지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해요!로깅이란?로깅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이벤트, 메시지, 데이터 등을 시간순으로 기록하는 과정을 말해요. 이런 기록은 나중에 프로그램의 동작을 분석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큰 도움이 돼요.로그 레벨로그는 중요도에 따라 여러 가지 레벨로 나뉘어요. 각 레벨은 아래와 같아요:DEBUG: 개발 중에 상세한 정보를 기록해요. 문제를 추적하고 디버깅하는데 유용하죠.INFO: 일반적인 작업의 성공을 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중요한 세션과 쿠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Flask를 사용한 예시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릴게요.세션과 쿠키란?먼저, 웹은 기본적으로 상태를 유지하지 않습니다(stateless). 그래서 사용자가 로그인했는지, 어떤 정보를 입력했는지 기억하려면 세션과 쿠키를 활용해야 해요.세션(Session):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해요. 각 사용자는 고유한 세션 ID를 가지고 있어요.쿠키(Cookie): 클라이언트(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에요. 세션 ID와 같은 정보를 저장해요.필요성세션과 쿠키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요해요:상태 유지: 사용자가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요.사용자 경험 향상: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정보를 기억할 수 있어..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파이썬 플라스크에서 웹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캐싱과 static_url_path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려고 해요.1. 캐싱이란 무엇인가요?캐싱은 한 번 로딩된 정적 파일(이미지, CSS, JavaScript 등)을 사용자 브라우저에 임시 저장하여 다음에 동일한 파일을 요청할 때 다시 다운로드하지 않고 저장된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이렇게 하면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가 빨라져요.예를 들어, 여러분이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가 있다고 가정해요. 이 웹사이트의 로고 이미지가 매번 새로 다운로드된다면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하고 로딩 속도가 느려지겠죠? 하지만 캐싱을 사용하면 한 번 로딩된 로고 이미지를 브라우저가 기억하고 있다가 다음에 방문할 때 빠르게 보여줄..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Flask로 웹 서버를 운영할 때 정적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특히 이미지를 특정 경로로 제공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할게요. 😃1. 정적 파일이란?정적 파일은 웹 서버가 따로 처리 없이 그대로 전달해주는 파일을 말해요. 예를 들어, HTML, CSS, JavaScript 파일과 이미지 파일 등이 이에 해당해요. Flask에서는 이러한 정적 파일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답니다.2. 기본 설정Flask에서 정적 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static 경로를 사용해요. 이 경로에 정적 파일을 저장하면, 별도의 설정 없이도 웹 서버를 통해 파일을 전달할 수 있어요.3. 특정 경로로 이미지 제공하기이미지를 특정 경로로 제공하고 싶다면 send_from_di..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Flask를 이용한 템플릿 상속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이 방법을 사용하면 웹 페이지를 더욱 효율적이고 깔끔하게 만들 수 있답니다.템플릿 상속이란?Flask에서 템플릿 상속은 여러 HTML 파일 간에 공통 부분을 재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에요. 이렇게 하면 중복 코드를 줄이고 유지보수가 쉬워져요. 템플릿 상속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아요:{% block 블록명 %}: 이 구문은 자식 템플릿에서 재정의 가능한 블록 영역을 설정해요. 블록명은 해당 블록의 고유한 식별자에요.{% endblock %}: 이 태그는 블록의 종료를 나타내요. 각각의 block 선언은 반드시 이 태그로 종결되어야 해요.{% extends '파일명' %}: 자식 템플릿에서 이 구문을 사용하여 특정 부..

안녕하세요! 오늘은 Flask에서 사용하는 Jinja2 템플릿 엔진에 대해 알아볼게요. Jinja2는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템플릿 엔진이에요. 웹 개발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답니다.1. 템플릿 디렉토리 구조Flask에서는 템플릿 파일들을 templates라는 디렉터리에 저장해요. 이 디렉터리 안에 HTML 파일들을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답니다.2. 기본 사용법템플릿에서는 변수를 출력할 때 {{ var }}를 사용해요. 안녕하세요, {{ name }}!3. 변수와 제어문템플릿 내에서는 제어문도 사용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조건문은 이렇게 작성할 수 있답니다.{% if name %} 안녕하세요, {{ name }}님!{% else %} 안녕하세요,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