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70)
hy30nq's blog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분투 사용자분들께 정말 유용한 팁을 드리려고 해요. 파일의 내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head와 tail 명령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명령어는 터미널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데요, 파일의 시작 부분이나 끝 부분을 미리 볼 수 있어서 정말 편리해요! head 명령어란?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시작 부분에서부터 지정된 수만큼의 라인을 화면에 출력해줍니다.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은 아래와 같아요. head [파일명] 이렇게 하면 기본적으로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줍니다. 더 많거나 적은 줄을 보고 싶다면 -n 옵션을 이용하면 돼요. head -n 5 [파일명] 위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5줄만 보여줍니다. tail 명령어란? tail 명령어는 이와 반대로 파일의 끝 부분..

: 각 사용자의 권한은 일반 사용자 또는 root 사용자 중의 하나로 정의 : 일반 사용자는 실행할 수 있는 퍼미션을 가진 파일에만 접근 가능 : root 사용자는 소유 여부에 관계 없이 모든 파일에 접근 가능 사용자 계정의 이해 리눅스에서 계정은 파일의 설정에 따라 관리 리눅스 계정과 관련 파일 /etc/passwd : 계정 이름과 관련 정보 /etc/shadow : 패스워드와 관련 정보 /etc/group : 계정 그룹과 보조 그룹 계정 정보 사용자 계정 생성 사용자 계정 생성 명령어 : adduser & useradd /etc/passwd 파일 안에 /home/kisa 디렉터리를 계정 홈으로 가짐 adduser 옵션 -c 설명 : 패스워드 파일에 새로운 사용자 설명을 추가 -d 디렉터리 : 새 계정..

시스템 종료 및 재시작 시스템 즉시 종료 shutdown -h now halt init 0 즉시 재시작 shutdown -r now reboot init 6 Shutdown 명령 옵션 예시 -h 10m : 10분 후에 종료 -r 22:00 : 종료 후 오후 10시 재가동 -c : 예약된 종료 취소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 보기 ls 명령어(list segments) :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이 표시 추가 옵션 및 예시 -a : 디렉터리 내의 모든 파일 출력(숨긴 파일 포함) -l : 파일 정보를 표시 -s :블록 단위로 파일 크기 표시 -t : 파일 최근 변경 시간에 따라 정렬해서 출력 --color : 파일 종류에 따라 색상 표시 -R : 현재 작업 디렉터리와 하위 디렉터리 모두 출력 --h..

쉘 개요 의미 운영체제 상에서 다양한 운영체제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사용자와 운영체제 내부(커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감싸는 층이라는 의미로 사용 → 응용프로그램과 운영체제 사이에 위치,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다리역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 분류 CLI : 명령 줄(Command Line) 인터페이스를 제공 GUI : 그래픽 사용자(Graphic User) 인터페이스를 제공 H/W ↔ OS((커널)) ↔ Shell ↔ Application ↔ User 기능 명령어 해석기 기능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을 해석해 전달 프로그래밍 기능 여러 명령을 사용해 반복하여 수행하는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제작(쉘 스크립트) 사용자 환경 설정의 기능 초기..

유닉스 개요 리눅스가 개발되었던 뿌리가 됨 대부분 C언어를 기반하여 개발된 운영체제 이식성이 강해 새로운 기종에 적은 노력으로 이식이 가능 시분할 구성으로 다중 사용자, 멀티 태스킹, 이식성으로 설계 System V 계와 BSD 계로 나뉘어 지며, System V는 상업 지향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BSD계는 연구 개발 지향적으로 개발 - 현재는 두 장점을 모두 갖는 형태를 취함 대표적인 유닉스 운영체제 Solaris 리눅스 개요 사유 유닉스에 반대하여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을 설립하고 유닉스의 복제본 GNU(GNU’s Not Unix)를 개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은 사유 소프트웨어로 바뀌는 것을 막고자 GNU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라는 규정을 만듦 이 활동이 부진해지자..

데이터베이스와 DBMS의 모든 것: CRUD부터 RDBMS, NoSQL까지!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데이터베이스와 DBMS의 세계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정보의 바다에서 우리가 필요한 데이터를 찾고 관리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바로 데이터베이스(DB)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덕분이죠. CRUD부터 RDBMS, NoSQL까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할게요! 데이터베이스와 DBMS란? 데이터베이스는 조직화된 데이터의 집합을 말해요. 여기서 데이터란, 정보의 조각들을 의미하죠. DBMS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관리, 조작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답니다.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안정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도와줘요. CRUD가 무엇일까요? CRUD는 데이터..

동기와 비동기, 그리고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동기와 비동기 작업, 콜백 함수, 프로미스, 그리고 async와 awa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개념들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매우 중요하며, 특히 웹 개발에서 자주 마주치게 됩니다. 복잡해 보일 수 있는 이 내용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 동기 VS 비동기 동기(Synchronous):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며, 한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비동기(Asynchronous): 특정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작업을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작업의 완료 여부와 상관없이 프로그램이 계속 실행될 수 있게 해줍니다.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s) 콜..

자바스크립트에서 예외 처리하기: try, catch, throw 활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우아하게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특히, try, catch, throw를 사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볼 거예요. 이 개념들을 잘 활용하면, 코드의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더 친절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답니다. 1. 오류 처리 기본: try와 catch 우선, try와 catch 문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예외 처리의 기본이에요. 이 구문을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를 try 블록 안에 넣고, 오류가 실제로 발생하면 catch 블록이 실행되어 처리할 수 있죠. 예시: try { //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코드 console.log('try 블록..